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주요국의 공급망 재편에 따른 인도의 기회요인과 과제

인도 최호상 국제금융센터 전문위원 2023/05/02

세계의 공장으로 불렸던 중국은 코로나19로 인한 장기간의 규제와 미·중 갈등과 같은 지정학적 위험 등으로 글로벌 생산기지로서 위상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다국적 기업들은 인근 아시아 국가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 중 인도는 공급망의 새로운 생산기지 구축 과정에서 다국적 기업이 다시 주목하는 국가가 되고 있다. 주요 IT 기업 중 하나인 알파벳(Alphabet)은 픽셀(Pixel)폰의 생산 일부를 인도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고, 애플(Apple)은 생산다각화와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인도에서 아이폰(iPhone) 14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주요 다국적 기업들의 생산거점으로 재부상하고 있는 인도가 지닌 기회 및 위협 요소들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인도가 중국을 대체할 세계적인 생산기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중국을 대체할 생산기지로 떠오르는 인도 
최근 각국의 공급망 구조재편 움직임은 세계경제에 많은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마찰, 정치적 갈등 심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기존에 구축한 공급망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즉 향후 생산과 물류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해 다국적 기업들은 코로나19 이전 공급망 모델에서 탈피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새로운 공급망 전략은 생산 공장을 특정 국가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지 않고 다양한 국가로 시설을 이동하여 위험을 분산하고, 유연성과 탄력성을 제고하여 공급망 재조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무엇보다 미국의 주도로 공급망 재편이 앞으로 활발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미국은 2023년 공급망의 재구성을 우방국 중심으로 진행한다는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정책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주요 원자재, 상품 등에서 중국과 러시아의 시장 장악을 억제하겠다는 의도 때문이다. 특히 미국은 유럽, 아시아 동맹국 등과 협력하여 공급망에서 중국을 제외하려는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조 바이든(Joe Biden) 대통령 정부는 자국을 비롯한 인도 등 14개국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를 수립하고 비상사태 발생 시 반도체 등 제품의 재고를 교환할 수 있는 메커니즘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미국의 첨단 기술 기업들이 인도와 베트남 등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려는 이유라고 볼 수 있다. 2022년 11월 애플의 위탁생산업체인 폭스콘(Foxconn)은 인도 아이폰 공장의 인력을 기존 1만 7,000명에서 앞으로 2년간 7만명으로 4배 정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1). 애플의 인도 내 아이폰 생산 비중이 현 5%에서 2025년 25%까지 늘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다만 미국의 경우, 섬유, 화학, 전자제품 등의 필수품 공급망을 중국에 의존하는 정도가 커서, 해당 제품들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과정에서 인도와 베트남 등으로 생산기지 이전을 빠르게 진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 업체인 컨테이너스엑스체인지(Containers xChange)에서는 다국적 기업이 당분간 ‘차이나 플러스원(China+1)’ 전략을 구사하면서, 중국을 대체할 국가로 인도와 베트남을 고려한다는 비율이 67%라고 제시하였다2)

일본 기업의 경우에도 코로나19에 따른 중국의 경제활동 제한 등으로 공급망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동맹국인 미국과 인접국인 중국 간 무역과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효과적인 공급망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2022년 8월 닛케이 BP의 조사3)에서는 일본 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벗어나기 위해 생산 및 판매 기지를 이전할 국가로 인도가 1순위로 지목되었다. 이는 지정학적 위험으로 인해 생산기지 및 부품공급 업체를 다각화하기 위한 공급망 재편 목표를 지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제조업 육성책과 맞물려 전 세계 공급망 재편은 인도의 기회요소
1990년대 말 서방 기업들은 소프트웨어 서비스 및 후선지원업무(back office)를 위한 최적의 외주 국가로 인도에 많은 투자를 전개했다. 이후 인도에 출범한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정부는 정책 지원의 우선 순위를 서비스업에서 제조업으로 전환했고, 이는 현 공급망 재편 흐름과 맞물려 효과를 낼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있다. 

인도 모디 행정부는  또한 해외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상품서비스세(GST, Goods and Service Tax) 도입과 함께 기업 파산법을 간소화하는 한편 다양한 노동개혁을 추진했다. 가장 큰 변화는 실효 법인세율을 기존 국내 기업의 경우에 35%에서 25%로, 새로 설립한 제조업체 투자에는 15%로 낮추로 복잡한 세율 체계를 간소화한 것이다. 

이와 같은 세율 인하는 기업 투자 관련 수많은 정책개혁과 연계하여 인도가 제조업 투자를 촉진하는 한편 수출과 내수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정책은 제조업 중심지로 발돋움하려는 모디 정부의 의도를 확인시켜 주는 한편 인도가 다국적 기업에게 매력적인 투자대상으로 부상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제조업 육성 정책의 결실로 2014년 163위였던 인도의 세계은행 기업환경평가(Doing Business 2020) 순위는 꾸준히 상승하여 2019년에는 63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인도에 대한 해외기업의 직접투자 활성화를 위해 인도 정부는 2020년 국내 생산 매출 증가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하는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Production Linked Incentive)와 같은 획기적인 정책도 도입했다. 이처럼 인도 정부가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 기업에 많은 분야를 개방하고 적극적으로 투자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미국, 유럽 등 외국 기업이 인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는 외국인 직접 투자(FDI)의 꾸준한 증가로 이어져 인도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인도의 제조업 정책 외에 인력 인프라 자체는 글로벌 제조업 생산기지로서 단연 여타국에 비해 우위에 있어, 해외투자 유치에도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전 세계적인 급속한 고령화에도 인도는 2030년까지 중위 연령이 31세로, 미국 40세, 중국 42세에 비해 젊은 생산가능인구가 다수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늘어나는 청년층 인구의 고용을 위해 인도 정부는 제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인도 정부는 제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025년까지 현 16~ 18%에서 25%까지 끌어 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다수의 저숙련 노동자와 대부분 엔지니어 및 기타 기술 분야에 종사 가능한 3,500만 명 이상의 고교 졸업자를 보유한 인도는 인구배당효과(Demographic Dividend)를 통한 경쟁력이 있는 국가이다. 이는 여타 경쟁국 대비 제조업 관련 고용에서 해외투자자에게 매력요소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이크인인디아(Make in India)와 스킬인디아(Skill India)는 모디 정부 1기에 시작된 계획으로, 해당 목표는 인도를 전세계 제조업 허브로 전환하고, 관련 기술 인력을 훈련시켜 일자리 기회를 창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러한 정책 의도는 기존 경제구조를 바꾸는데 매우 건설적인 내용이지만, 아직까지 인도 정부가 효과적으로 구현하지 못한 측면도 존재한다.  

다만 인도에 장기간 구축된 세계적인 수준의 제조업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노동자의 추가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인도에 투자하는 기업이 수행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현재 매년 150만 명 이상이 기술교육을 받고 있으며, 글로벌 제조업 관행 교육을 이수하고 경쟁력을 보유한 인력이 배출되고 있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다. 

항만 등 인프라의 취약성은 글로벌 제조업 허브 도약의 장애요소 
인도 정부의 해외기업 유치전략에 힘입어 해외기업의 인도 투자는 코로나19 대유행기에도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2021/22회계연도에는 848억 4,000만 달러(한화 약 112조 원)로 통계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처럼 다국적 기업의 인도 투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인도가 제조업의 국제 허브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장애요소가 존재한다. 

우선 토지취득과 사업 절차 등에서 해외투자자는 어려움이 있다. 사업 절차 진행을 위한 인도 정부의 승인은 중국에 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다음으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들 수 있다. 인도 정책당국은 무역수지 적자 제어를 위해 일부 제품의 수입통제 정책을 강화했으며, 수출입 업체 모두 예측할 수 없는 관세와 제도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수년간 지적된 도로, 항만 등 인프라의 부족은 해외투자의 중요한 걸림돌이다. 예를 들어, 특정 항구에서 생산제품을 선적하는데 20일 이상 걸리며, 도로 운송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교통체증과 철도화물 운송 지연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력 문제는 사업에 필요한 에너지 확보의 애로사항이며, 빈번한 전기료 인상 등이 사업진행에 차질을 빚게 한다. 이에 해외투자 유치를 위해 항만 및 자체 해운 선박 개발, 민간과 정부의 협력 확대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외에 연구개발 지출이 여타국에 비해 낮아, 기술개발을 통한 제조업 성장 접목에 취약하다고 볼 수 있다. 

향후 주요 생산거점으로서 위상 확대를 위한 방안 마련이 과제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 전 세계적인 공급망 구조 재편 움직임의 가장 큰 수혜국으로서 인도가 주목받고 있으며, 모디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이 성과를 거둔다면, 인도의 향후 글로벌 생산기지로서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미국이 주도하는 공급망의 블록화, 즉 동맹국과의 결속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중국의 대안 생산기지로서 인도로 해외투자 유입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세계 1위의 인구 규모에 기반한 내수시장의 잠재력과 풍부한 청년층 노동력에 힘입어 다국적 기업의 인도 진출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다만 인도 경제는 최근 미국과 중국의 긴장 관계와 코로나19 대유행기를 거치면서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데, 이를 지속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다. 인도를 중장기 제조업의 국제 허브로 주목하게 하는 정책 등 긍정적인 요소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토지취득 인허가와 관련한 투자 법령의 개혁, 기술 분야에서 해외투자를 유인할 만한 인프라 개발 등이 관건이다. 


* 각주
1) Reuters, “Exclusive: Apple supplier Foxconn plans to quadruple workforce at India plant”, 2022.11.11
2) Containers xChange, Supply chain and shipping predictions for 2023, 2023.1.
3) https://project.nikkeibp.co.jp/bpi/atcl/column/19/012700364/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