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종교 문제로 인한 남아시아 내 정치사회적 갈등

인도ㆍ남아시아 일반 EMERiCs - - 2022/12/30




남아시아 내 종교 폭행과 인권 침해 심각한 우려

남아시아 사회적 적대감 지수 ‘높음’ 수준, 남아시아 각국 심각한 인권 침해 상황
세계의 사회 문제를 연구하는 미국의 씽크탱크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는 남아시아 국가들의 종교적 억압이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퓨 리서치 센터가 발표한  ‘2020년 코로나19 제한이 세계 각국 종교 집단에 끼친 영향에 관한 보고서(How COVID-19 Restrictions Affected Religious Groups Around the World in 2020)’에 따르면,  2020년 정부의 종교 활동 제한과 사회적인 적대감이 높게 나타난 국가에는 인도, 이집트,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나이지리아가 포함되었다. 또한 2020년 코로나19 봉쇄 기간  인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이집트, 방글라데시가 사회적 적대감이 가장 높게 나타난 국가로 선정되었다.

퓨 리서치 센터가 산출하는 사회적 적대감 지수(SHI, Social Hostilities Index)는 사회 내 개인, 단체, 집단의 종교적 적대 행위를 측정한 지표로, 종교에 기반한 무장 갈등, 테러,  군중 간 갈등과 폭력 등을 13개 항목으로 분석한다. 사회적 적대감 지수는 종교적 혐오와 편견으로 인한 폭력 행위를 본 적이 있는지, 종교적 혐오 혹은 편견에 기반한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는지, 특정 종교 집단에게 집단 폭력을 가하는지 등을 물은 뒤 이를 종합하여 지수로 산출한다. 사회적 적대감 지수는 10점 만점으로, 지수가 낮을수록 사회적 적대감이 낮은 것을, 지수가 높은 것은 사회적 적대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2020년 종교에 기반한 사회 적대감 지수에서 인도는 가장 높은 9.4점을, 3위인 아프가니스탄은 8점을 기록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로 대표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적인 갈등을 겪고 있는 이스라엘이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8점을 기록하였다.

인권 단체인 국제엠네스티(Amnesty International)의 야미니 미슈라(Yamini Mishra) 남아시아 담당관은 2022년에도 남아시아 인권 상황이 악화되었으며, 인권 침해 사례가 크게 늘어났다고 밝혔다. 미슈라 담당관은 남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이 인권 운동가들과 언론인 등 불의에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을 침묵시키고 손쉽게 구속하게 하기 위해 악랄한 대테러법을 활용해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슈라 담당관은 스리랑카의 테러방지법(PTA, Prevention of Terrorism Act), 인도의 불법행위(방지)법(UAPA, Unlawful Activities (Prevention) Act), 몰디브의 신성모독법이 인권을 침해하였다고 지적하였으며, 방글라데시에서도 종교적 정서를 상하게 했다는 혐의로16개월간 구금된 사람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지난 2021년 8월 이후 이어진 탈레반(Taliban)의 통치로 여성과 소수 민족들의 인권이 침해되었으며, 하자라인들(Hazaras)과 미국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었던 전 아프가니스탄 정부 관료들을 강제 연행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인도 사회적 적대감 지수 전 세계 1위
종교 갈등 격화로 사회적 긴장 최고조

미 연구조사기관 연구 결과 인도, 사회적 적대감 지수에서 10점 중 9.4점으로 최고치
인도는 퓨 리서치 센터가 발표한 2020년 사회적 적대감 지수에서 인도는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보다 높은 9.4점을 기록했다. 퓨 리서치 센터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도 정부가 종교적 집회를 금지하자 이에 대한 반발로 사회적 적대감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한 퓨 리서치 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무슬림 혐오 표현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공유되면서 인도 내 사회적 적대감 지수가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0년 소셜 미디어에서는 #코로나지하드(#CoronaJihad)와 같은 해시 태그가 널리 퍼졌으며, 무슬림에 대한 폭행도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는 인도 내 이슬람 혐오(Islamophobia) 현상이 수년 째 이어지고 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봉쇄가 이루어지는 동안 유행한 코로나지하드 해시태그는 하나의 사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휴먼라이츠워치는 코로나19 봉쇄 정책으로 인도 내 무슬림에 대한 사회경제적 보이콧이 늘어나고 있으며, 많은 무슬림들이 물리적 공격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휴먼라이츠워치는 힌두 민족주의를 표방하는 인도 여당인 인도인민당(BJP, Bharatiya Janata Party) 인사들이 무슬림들의 선교 활동인 타블리기 자마아트(Tablighi Jamaat)를 ‘탈레반 범죄 집단’, ‘코로나 테러’로 지칭해왔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2019년 사회적 적대감 지수에서 인도는 198개국 중 ‘매우 높음’으로 분류된 나이지리아, 아프가니스탄, 이스라엘, 말리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당시 퓨 리서치 센터는 시민권법 개정안(CAA, Citizenship Amendment Act)으로 인한 폭력과 시위로 인도의 사회적 적대감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한 바 있다.

시민권법 개정안 둘러싼 논쟁과 개종방지법 처벌 강화… 갈수록 격화되는 종교 갈등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중단되었던 시민권법 개정안 반대 집회가 2022년 12월 들어 아쌈주(Assam)에서 재개되었다. 시민권법 개정안은 지난 2019년 12월 11일 인도 상원인 라지야 사바(Rajya Sabha)에서 통과되었다. 시민권법 개정안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에서 귀화한 인도인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것을 규정하는 법안이다. 위 법안에 따라 인도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는 인도인들은 힌두교, 불교, 시크교, 기독교, 자이나교, 조로아스터교 신도로 제한되며, 무슬림은 제외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시민권법 개정안 통과 이후에도 시민권법 개정안을 둘러싼 반발과 물리적인 충돌이 이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인도 내 각 주는 독립 이후 강제 개종을 방지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해왔다. 2014년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인도 총리가 집권한 이후 인도 각 주 의회는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명분으로 종교자유법을 제정하였으며, 종교자유법은 개종방지법으로도 불려졌다. 각 주의 종교 자유법의 내용이 모두 같은 것은 아니지만, 종교자유법에는 기본적으로 강제 개종을 금지하고, 강제 개종 행위를 처벌하는 내용이 담겼다. 

11월 30일 우타라칸드주(Uttarakhand) 의회에서 2022년 우타라칸드주 종교자유법 개정안(Uttarakhand Freedom of Religion (Amendment Act), 2022)이 채택되었다. 우타라칸드주 종교자유법 개정안은 강제 개종의 정의를 구체화하고 처벌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우타라칸드주 종교자유법에는 오해, 강제, 부당한 위압, 강압, 유혹 등 속임수로 타인을 개종하려는 사람을 5만 루피(한화 약 78만 원)의 벌금형 혹은 최소 3년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2022년 개정안에서 벌금액은 50만 루피(한화 약 780만 원), 징역형은 최대 10년형까지 늘어났다.

파키스탄 내 지배집단과 소수집단 간 갈등

종교적 · 민족적 소수인 시아파 하자라 무슬림에 대한 파키스탄 내 종교 폭행
파키스탄은 역사적으로 종파 간 분쟁이 이어져왔다. 전쟁 방지, 평화 구축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국제 독립 단체인 크라이시스그룹(Crisis Group)에 따르면, 지난 1980~1990년대 파키스탄 내에서 대규모 종파 갈등으로 수천 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라이시스 그룹은 최근 종파 간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여전히 종파 간 반감이 존재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크라이시스 그룹은 데오반디 순니 단체(Deobandi Sunni groups), 시파-에-사하바 파키스탄(SSP, Sipah-e-Sahaba Pakistan), 라슈카르-에-장비(Lashkar-e-Jhangvi), 이슬람국가 호라산(ISKP, Islamic State Khorasan Province), 테흐레에크-에-라바이크 파키스탄(Tehreek-e-Labaik Pakistan) 등 강경 순니 단체가 여전히 파키스탄 국내외에서 활동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슬람 종파 중 하나인 시아(Shia)에 속한 하자라인들(Hazaras)은 파키스탄 내 종파 간 분쟁에서 순니 무장 집단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되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3년 2월 순니 무장 단체의 자살 폭탄 테러로 퀘타(Quetta)에서는 200명의 하자라인들이 사망하였다. 2017년 파키스탄 국가인권위원회(National Commission for Human Right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1~2017년 간 종파 간 분쟁으로 하자라인 509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자라인들에 대한 폭력 행위가 지속되자 결국 일부 하자라인들은 파키스탄을 떠나기도 했다. 또한 외국에 망명한 하자라인들은 파키스탄 대사관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파키스탄 트랜스젠더 권리 보호법 둘러싼 갈등, 트렌스젠더에 비우호적인 파키스탄 이슬람 문화
지난 11월 20일 파키스탄 내 트랜스젠더들과 사회활동가들이 남부 도시 카라치(Karachi)에서 인권을 위한 시위를 벌였다. 시위 참가자들은 트랜스젠더에게 동등한 권한을 보장하고, 트랜스젠더들이 지역 사회 내에서 겪는 차별을 알리기 위한 구호를 외쳤다. 지난 2012년 파키스탄 대법원에서 트랜스젠더는 제3의 성으로 인정받았으나, 파키스탄 내에서는 트랜스젠더에 대한 차별이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 인권단체인 앰네스티 인터내셔널(Amnesty International)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파키스탄 내에서 트랜스젠더 18명이 살해당했다고 밝혔다. 11월 18일 파키스탄에서 개봉된 트랜스젠더 영화인 조이랜드(Joyland)가 파키스탄 정부에 의해 상영이 금지되면서 사회적인 논란이되었다. 조이랜드는 유부남과 트랜스젠더 여성 간 관계를 그린 영화로, 파키스탄 일부에서 상영되었으나 셰바즈 샤리프(Shehbaz Sharif) 정부는 상영을 금지시켰다. 펀자브주(Punjab) 정부는 지속적으로 항의가 들어와 영화 상영을 금지하였다고 설명하였다.

탈레반 집권 후 더욱 악화된 아프가니스탄 내 인권 상황

아프가니스탄에서도 핍박 받는 하자라족… 지난 10월 아프간 여성들, 하자라족 학살 중지하라며 시위
하자라인들은 파키스탄 뿐만 아니라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종파 간 폭력의 대상이 되었다. 아프가니스탄 내 이슬람국가(IS, Islamic State) 분파와 탈레반(Taliban) 모두 하자라인들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하자라인들을 공격했다. 미국 매체인 CBS 뉴스는 아프가니스탄 내 하자라인들에 대한 공격이 인종 학살로 여겨지며, 하자라인들이 아프가니스탄 내에서 가장 억압 받는 민족이라고 전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발표한 2019년 월드 팩트 북(World Fact Book)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내 하자라인들의 수는 400만 명에 달한다. 2022년 기준 아프가니스탄 내 인구 수(추정치)는 3,834만 명이다.

지난 10월 1일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Kabul) 고등교육센터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로 다수의 하자라인들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프가니스탄 내 UN 사무소와 카불 내 KAAJ 고등교육센터(KAAJ Higher Educational Center) 직원들은 자살 폭탄 테러의 피해자들이 대부분 여성이거나 여학생들이었으며, 전체 피해자 중 50명 이상이 하자라인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은 이들을 추모하고, 안전 보장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시위에 참가한 여성들은 안보와 교육은 권리이며, 인종 학살을 멈추라는 구호를 외쳤다. 소셜 미디어에서는 ‘하자라 학살을 멈춰라(StopHazaraGenocide)’라는 내용의 해시태그가 유행하기도 했다.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Sharia)에 대한 탈레반의 극단적 해석이 불러온 인도주의적 위기
11월 13일 탈레반 최고지도자인 하이바툴라 아쿤자다(Haibatullah Akhundzada)가 아프가니스탄 법관들에게 일부 범죄에 이슬람 율법인 샤리아를 엄격히 적용한 처벌을 시행하라고 지시하였다. 자비훌라 무자히드(Zabihullah Mujahid) 탈레반 대변인은 법관들이 강도, 납치, 폭력 선동 사건 등에 대하여 샤리아에 따른 세심한 수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탈레반 측은 어떠한 처벌이 적용될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여러 언론들은 지난 1990년대 탈레반 집권 당시 상황을 근거로 탈레반이 또다시 공개 신체 절단형, 태형, 투석형 등을 집행할 것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아쿤자다의 명령이 전달된 이후 아프가니스탄 내에서는 공개 태형, 채찍형이 집행되었으며, 공개 처형도 이루어졌다.

방글라데시에서도 발견되는 
종교적 극단주의로 인한 사회 불안정 요소

방글라데시 내 새로운 무슬림 극단주의 세력의 출현으로 안보 위협 고조
지난 10월 6일 방글라데시 엘리트 테러 대응 부대인 신속대응대대(RAB, Rapid Action Battalion)가 알카에다(al-Qaida)의 지파인 자마아툴 안사르 필 힌달 샤르키야(Jama’atul Ansar Fil Hindal Sharqiya) 소속 단원 7명을 구속했다. 자미아툴 안사르 필 힌달 샤르키야는 2017년 이후 방글라데시 내에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2019년 자마아트-울-무자히딘 방글라데시(JMB, Jamaat-ul-Mujahideen Bangladesh), 안사르 알-이슬람(AAI, Ansar al-Islam), 하르카트-울 지하드-알 이슬라미 방글라데시(HUJI-B, Harkat-ul-Jihad-al Islami Bangladesh)가 자미아툴 안사르 필 힌달 샤르키야에 합류했다. 이들 단체들은 과거 따로 활동할 때 무신론자 블로거를 살해하거나 카페에 테러 공격을 가하기도 했다. 퓨 리서치 센터는 방글라데시를 사회적 적대감 지수가 ‘매우 높은’ 국가로 분류했다. 2020년 사회적 적대감 지수에서 방글라데시는 인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이집트 다음으로 사회적 적대감 지수가 높은 국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