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경제] 미국의 양적완화 이후 싱가포르의 대미 수출경쟁력의 변화분석

싱가포르 국내연구자료 학술논문 김태헌 한국질서경제학회 발간일 : 2017-08-25 등록일 : 2017-08-25 원문링크

본고에서는 미국의 QE1~QE4가 싱가포르와 미국의 쌍무무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특히 양적완화 이후 싱가포르의 대미 수출경쟁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사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분석은 양적완화 실 시 전후인 2005년에서 2012까지 8년간의 환율 및 무역시계열통계를 이용하였으며 TSI, RCA, CAC 지수분석법 을 활용하였다. TSI분석결과, 싱가포르 10대 수출품목의 절반에서 TSI가 악화되었고 다른 절반에서는 TSI가 개선된 것으로 나 타나 미국의 QE가 싱가포르 10대 수출품의 국제특화지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지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 었다. 이에 반하여 미국은 QE 실시 이후 8개 품목에서 TSI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RCA 지수 분석에서는 싱가포르의 경우 QE 실시후 3개 품목에서 RCA 지수가 작아졌을 뿐, 7개 품목은 오히려 RCA 지수 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은 QE에도 불구하고 2개 품목에서 RCA 지수가 개선되었을 뿐, 전반적 인 수출품목에서는 약보합세를 유지하거나 더 열악해지는 등 QE의 영향력이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CAC 지수 분석결과, 싱가포르는 10대 품목 중 경쟁력있는 2개 품목에서 CAC지수가 개선되고, CAC 지수 1이 하의 품목군에서는 CAC 지수값이 각각 4개 품목씩 미세상승하거나 감소하였다. 따라서 미국의 QE 여파로 싱 가포르 10대 수출품목의 대미수출은 상당한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미국의 경우 QE 실시 후 싱 가포르 시장에서 CAC지수가 1보다 크며 지수값이 개선된 품목은 3개에 불과하였다. 미국 QE가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싱가포르의 수출경쟁력에 미친 부정적 영향을 TSI,RCA 지수로 파악하 기에는 모호한 점이 있었지만, 무역상대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CAC 지수분석에서는 미국의 QE가 싱가포르의 대미수출에 상당한 타격을 입힌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