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경영] 중동 건설시장의 구조변화와 한국 건설 진출의 특징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국내연구자료 기타 심의섭 한국중동학회논총 발간일 : 2007-08-31 등록일 : 2017-08-04 원문링크

현재 중동의 건설시장은 제2의 호황기를 누리고 있으며 구조 조정을 하고 있다. 1970-1980년대의 1차 건설호황과 2000년대 중반의 2 차 건설 호황은 모두 풍부한 석유수입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1980년대의 건설호황과 2000년대 중반의 건설호 황은 그 성격을 달리하고 있다. 수요측면에서 볼 때 1980년대 호황은 주로 GCC 산유국을 중심으로 사회간접자본 건설에 대한 발주가 많았으며, 2000년대 중반의 건설호황은 역시 GCC 산유국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으나 공종은 플랜트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차이이다. 이는 1차 건설호황을 통하여 현지의 사회 간접자본의 건설이 거의 마무리 되었으며, 이제 2차 호황기에는 석유의존적인 경 제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산업구조 조정적인 차원에서 플랜트 공사의 발주증가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이 수요측면의 특성이라면 공급측면에서는 1, 2차 호황기를 통하 여 한국의 해외건설업계의 진출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국의 해외건설업계는 중동 일변도 진출을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도 중동시장 의존도는 높은 편이다. 또한 한국의 플랜트 수주 비중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 도 수주면에서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한국정부의 장기 진출 전략인 해외건설 진흥 계획에 의하면 전 세계 건설시장에서 한국의 수주비중을 2004년도 2%에서 2020 년도에는 10%로 올리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한국 건설업계의 또 다른 특징은 중소건설업체들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다. 중동국가들은 대부분의 공사에서 자국화시책을 강화하고, 비산유국에서는 공 급자 신용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은 ODA 자금과 EDCF 자금을 사용하여 비산유 개도국의 건설사업에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 물론 한국의 해외건설업계는 R&D 투자를 높여야하며, 현재 진행 중인 GCC와의 FTA에 체결에 대비하여 능동 적인 진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