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몽골, 석탄 수출 확대 및 ‘Integra’ 이니셔티브 등을 통한 광산업·에너지 거버넌스 강화
몽골 이경은 EC21R&C 연구원 2025/05/02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몽골, 석탄 수출 확대 관련 결의안 채택... 對중국 석탄 수출 1억 톤으로 증가 목표
o 최근 몽골의 석탄 수출 지연 및 정부의 대응
- 최근 몽골 광산업계는 석탄 가격 하락 및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고조 등으로 인해 석탄 판매를 지체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며, 이에 몽골의 주요 수출항인 간츠모드(Gantsmod) 항만에서의 수출 지연이 발생하고 있음. 실제, 2025년 1/4분기 몽골의 석탄 수출량은 1,750만 톤(t)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3% 감소하였으며, 몽골 최대 국영 석탄 수출기업 '에르데네스 타반 톨고이(ETT: Erdenes Tavan Tolgoi)'는 올해 1분기에 총 47건의 거래를 시도하였으나 성사된 거래가 12건에 불과하다고 보고함.
- 이러한 상황 속, 몽골 내각은 2025년 4월 16일 정기 회의에서 석탄 수출 확대를 위한 결의안을 채택함. 해당 결의안에 따라, 정부는 툴가 부야(Tulga Buya) 몽골 국가항만부흥위원회 장관과 델게르사이칸 보르후(Delgersaikhan Borkhuu) 도로교통부장관 등 주요 관계자들에게 ETT와 장기 석탄 매매계약을 체결한 해외 기업들이 구매한 석탄이 ‘특별 관문(special gate)’을 통해 즉시 수출될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을 지시하였다. 동 결의안은 장기 계약을 통해 이미 판매가 확정된 석탄의 수출 속도를 높임으로써, 수출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석탄 수출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o 對중국 석탄 수출 확대 및 인프라 개발 계획
- 몽골은 지난 2024년 중국에 약 8,400만 톤의 석탄을 수출한 것으로 확인되는데, 2025년에는 對중국 석탄 수출량을 1억 톤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롭상남스라이 어용에르덴(Luvsannamsrai Oyun-Erdene) 몽골 총리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25년 4월 12일 중국과 신규 국경 철도 연결에 대한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동 철도를 통해 약 3,000만 톤의 추가 수출 용량을 확보할 방침임.
- 아울러, 몽골 정부는 향후 중국과의 철도 연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對중국 석탄 수출 규모를 1억 6,500만 톤까지 확대할 계획임. 중국은 2024년 호주와 몽골로부터의 석탄 수입을 크게 증대한 것으로 확인되는데, 특히 몽골은 중국의 코크스(cokes) 제조용 석탄 수입의 약 60%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됨. 전문가들은 러시아산 석탄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러한 상황 속 몽골이 중국 석탄 시장의 점유율을 유지하거나 확대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평가함.
□ 광산업 부문에 대한 국제 투자 및 협력 확대
o ‘몽골리아 마이닝 2025' 국제 광업 박람회 개최
- 2025년 4월 18일~19일 간 울란바토르(Ulaanbaatar)에서 '선진 기술 - 강력한 광업(Advanced Technology – Strong Mining)' 주제 下 '몽골리아 마이닝 2025(Mongolia Mining 2025)' 국제 광업 박람회가 개최됨. 이번 박람회에는 중국, 캐나다, 호주, 미국, 러시아, 튀르키예, 독일 등 20개 이상 국가의 대표단들과 함께 몽골 주요 광산업체들이 참가함.
- ‘몽골리아 마이닝 2025’에는 글로벌 광산 장비 제조업체, 원자재 공급업체, 탐사 및 채굴 기업과 더불어 광업 프로젝트에 투자를 추진하고 있는 다수 은행 및 금융 기관들도 참석함. 중국 사니(Sany), 톤리(Tonly), 한국 현대(Hyundai) 등 세계 주요 광산업 기업들은 굴착기, 휠 로더, 덤프 트럭, 드릴링 머신 등의 최신 장비를 선보였으며, 엔지니어, 지질학자, 시추 및 발파 전문가들이 전문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컨퍼런스 및 세미나가 함께 개최됨. 이번 행사는 국내외 참가자들 간의 네트워킹과 협약 체결,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핵심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됨.
o 에너지 및 천연가스 부문에서의 국제 협력 강화 추진
- 몽골은 광활한 영토를 활용한 에너지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주요 국가들과의 에너지 협력을 확대하고자 함. 이와 관련, 롭상남스라이 총리는 녹색 에너지 발전, 수소 생산, 천연가스 운송 등 다양한 에너지 부문에서 국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
- 특히, 몽골 정부는 중국과 러시아 간의 '시베리아의 힘 2(Power of Siberia 2)*'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 대한 제2차 삼자 협상(1차는 2024년 10월 개최)을 추진할 계획임. 현재 동 프로젝트는 중국-러시아 간 비용 관련 문제로 정체된 상태이나, 간투무르 루브산얌(Gantumur Luvsannyam) 몽골 부총리는 중국-러시아 간 합의 도달 시 몽골이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언급함.
- 아울러, 몽골은 자국의 석탄 매장량을 활용한 수소 생산 사업도 추진하고 있으며, 중동 국가들과 수소 수출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짐.
*러시아 서부 시베리아의 가스전을 출발하여 몽골을 경유해 중국 서부 신장 지역까지 약 2,600 km를 연결하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
□ UNDP와의 'Integra' 이니셔티브를 통한 광산업 투명성 강화
o UNDP와 협력한 채굴산업 거버넌스 강화 프로그램 출범
- 2025년 4월 18일, 몽골 산업광물자원부는 몽골 주재 유엔개발계획(UNDP)과 협력하여 '채굴 부문의 공공재 및 서비스를 위한 투명성 이니셔티브(Integra Initiative: Integrity for Public Goods and Services in the Extractive Sector)‘를 출범함. 'Integra' 이니셔티브는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접근을 통해 자연 자원, 특히 광업 부문의 관리에 있어 투명성 리스크를 파악하고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 동 이니셔티브는 대한민국, 덴마크, 룩셈부르크 정부의 지원을 받아 UNDP의 거버넌스, 평화구축, 위기 및 복원력 기금(Funding Window for Governance, Peacebuilding, Crisis and Resilience)을 통해 시행되며, 몽골을 비롯하여 앙골라, 마다가스카르, 짐바브웨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될 예정임.
o ‘Integra’ 이니셔티브 下 국내 개혁 및 국제 협력을 통한 광물자원 거버넌스 개선
- 세레이터 자브흐란바타르(Sereeter Javkhlanbaatar) 몽골 산업광물자원부차관은 'Integra' 이니셔티브를 “국내 광업 부문의 거버넌스를 강화하기 위한 핵심적인 플랫폼”이라고 평가하였으며, 동 이니셔티브가 광물 자원의 투명하고 책임 있는 관리를 보장하기 위한 국가 개혁 목표에 부합한다고 설명함. ‘Integra’ 이니셔티브는 몽골 광산업의 윤리적 측면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 개선, 신뢰 회복, 지속 가능한 개발 가속화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작용할 전망임.
- 아울러, ‘Integra’ 이니셔티브는 UNDP의 글로벌 '인류와 지구를 위한 거버넌스(Governance for People and Planet)'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환경 지속가능성, 성평등, 포용적 성장에 대한 거버넌스를 구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 달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투명성 이니셔티브가 몽골의 풍부한 광물자원 잠재력 실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함.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Montsame, “Integra” Initiative of the UNDP Launches in Mongolia, 2025.04.21.
UNDP, UNDP Launches Integra Initiative to Strengthen Integrity in Extractive Sector in Mongolia, 2025.04.18.
Montsame, Over 250 Companies Participating in “Mongolia Mining 2025” International Mining Expo, 2025.04.18.
Montsame, The Cabinet of Mongolia Adopts Resolution on Measures to Increase Coal Exports, 2025.04.17.
Mongoliand Business Database, Mongolia Aims to Lift Chinese Coal Sales to 100 Million Ton, 20205.02.18.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월간정세변화] 우즈베키스탄의 경제 개혁과 글로벌 통합 전략 분석 | 2025-04-30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평화협정 체결 발표 후 헌법 개정 요구로 이행 지연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