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 2030 에너지 전략: 구상과 실제, 그리고 전망

사우디아라비아 Christopher M. Davidson PhD Durham University, UK Principal Lecturer 2022/10/05

You may download English ver. of the original article(unedited) on top.




서론
사우디아라비아는 자국 경제의 탈석유화 및 다변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환경 분야에도 관심을 쏟는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이미지를 제고한다는 목표 아래 최근 야심찬 녹색 에너지 구상을 내놓았다. 지금까지 본 구상에 포함된 내용 중 대표적 사례로는 ▲재생에너지 역량 강화를 위한 구체적 중·단기 목표 제시 ▲유관 분야 민-관 파트너십 증진 ▲해외직접투자(FDI) 유치 진작 ▲관련 장비 및 부품의 국산화 ▲기술 연구·개발 강화 ▲법령 및 제도 개혁 ▲신규 포괄 전략 입안 등을 들 수 있다.

비록 지금까지의 성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단기 목표는 온전히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사우디아라비아가 해당 분야에 보이는 의욕이 지대한 점, 그리고 행정부가 수립한 경제 계획이나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Muhammad bin Salman Al-Saud, 이하 ‘빈 살만’) 왕세자의 통치 정당성 확보 측면에서도 경제 다변화가 큰 중요성을 지니는 점을 감안하면 개별 목표 달성 여부와 무관하게 앞으로도 관련 노력이 꾸준히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올바른 방향으로의 의미 있는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전 2030 도입의 역사와 배경
사우디아라비아는 장기적으로는 미래 탈석유 시대의 도래에 대비하면서 중·단기적으로는 자국 경제의 석유 의존도를 줄여 환경 분야에서의 책임을 다한다는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해 오랫동안 재생에너지원 활용을 늘리고자 노력해 왔다. 이를 보여주는 사례로는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Abdullah bin Abdul-Aziz Al-Saud) 전임 국왕 재임기인 2010년에 출범한 킹 압둘라 원자력·재생에너지 연구원(K.A.CARE, King Abdullah City for Atomic and Renewable Energy)을 꼽을 수 있으며1), 본 기관은 석유 이외 에너지에 관한 국가 정책을 수립하고, 원자력 및 재생에너지원에 기반한 전력발전 사업을 시행해 자국 에너지 비중을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개선하는 데 그 목표를 두었다.

하지만 빈 살만 왕세자가 국방장관 직위에서 시작해 부(副)왕세자를 거쳐 왕세자로 책봉되기까지 자신의 권력을 강화해 나가던 2015~2017년의 기간에는 선임 정부의 녹색 에너지 구상이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일례로 2016년을 기준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에너지 생산량에서 재생에너지원의 비중은 사실상 전무했고2), 에너지 소비량 통계에서도 재생에너지 비중은 0.7%라는 미미한 수치를 나타냈다3). 게다가 2016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전력 소비량이 2010년의 219테라와트시(TWh)에서 341TWh로 껑충 뛰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활용이 부진하다는 사실은 상황을 낙관적으로만 해석할 수는 없게 만든다4).

하지만 세계적 저유가 기조로 인해 2015년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달하는 980억 달러(한화 약 137조 원)의 전례 없는 재정적자가 발생하자5) 이 손해를 메꾸기 위해 외환보유고를 풀어 총 1,150억 달러(한화 약 160조 원)의 자금을 추가 투입한6) 사우디아라비아의 입장에서 자국 내 석유 소비량까지 급증한 사실은 재생에너지 분야의 발전을 서둘러야 한다는 경각심을 심어 주기에 충분했다. 여기에 더해 사우디아라비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10년 418메가톤에서 2015년에는 531메가톤으로 크게 늘어난 점도7) 국제사회로부터 화석연료 사용이 지나치다는 비판을 불러일으키며8) 상당한 근심거리가 되었다.

비전 2030의 전반적 방향성
상기 맥락 아래 빈 살만 정부에서 2016년 4월에 공개한 경제적 탈석유 및 다변화 종합 전략, 이른바 ‘사우디 비전(Saudi Vision) 2030’은 재생에너지와 관련해 다음과 같은 전반적 방향성을 설정했다.

  □ ‘무슬림으로서의, 인간으로서의, 그리고 도덕적 차원에서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미래 세대에 대한 책무이자 수준 높은 일상생활의 필수 요건인’ 환경적 지속 가능성 확보 공약
  □ 재생에너지 부문의 발전을 위한 민간부문 및 정부 기관 사이의 파트너십 형성 강조(석유 이외 분야 민-관 파트너십과도 유사한 성격)
  □ 현재 주요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천혜의 태양광·풍력 발전 여건 ▲규소 및 석유 등 풍부한 자원 ▲에너지 분야 전문 인력 등과 같이 재생에너지 핵심 생산국으로 도약하는 데 유용한 수많은 비교우위를 지닌 점을 역설
  □ 민간부문과의 협력을 통한 재생에너지 관련 장비 및 인프라의 국산화 필요성 제기(광범위한 제조업 육성 전략의 일환으로, 군사 장비 국산화 전략과도 유사)
  □ 자체적 재생에너지 기술 연구·개발 강화를 통한 재생에너지 가치사슬 국산화 노력 강조(지식기반 경제 건설 전략과도 상통)
  □ 재생에너지 부문에 대한 민간 투자 증진을 목표로 법령 및 제도 개혁 검토 시사 
  □ 자국 재생에너지 정책과 사업을 종합적으로 규율하기 위한 신규 포괄 전략인 ‘킹 살만 재생에너지 구상(King Salman Renewable Energy Initiative)’ 발표9) 

비전 2030의 구체적 목표
원래 사우디 비전 2030 문안에는 전략의 명칭에 들어간 2030년까지의 목표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 대신 2023년까지 재생에너지 생산량 9.5기가와트를 달성하겠다는 내용만을 담고 있었다10).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국가 재생에너지 프로그램(National Renewable Energy Program)이 발표한 성명문에서 2020년까지의 중간 목표를 재생에너지 3.45기가와트 생산으로 잡았다11).

그러던 중 사우디 재생에너지사업 개발실(REPDO, Renewable Energy Project Development Office)은 2018년 말에 2023년 목표는 27.3기가와트로, 2030년 목표는 58.7기가와트로 각각 크게 상향 조정되었음을 발표했다. 그 내역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2023년 목표 상향분은 태양광, 풍력, 집광형 발전 설비를 각각 20기가와트, 7기가와트, 300메가와트씩 확충해 충당한다는 계획이고, 2030년 신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총 35개 에너지 공원을 조성해 상기 종류별 발전 용량을 40기가와트, 16기가와트, 2.7기가와트씩 늘리는 조치가 수행될 예정이다12). 또한 해당 개정안에 따르면 REPDO는 민간 경쟁 입찰로 신규 사업 자금의 30%를 확보하고, 나머지 70%는 공공투자기금(PIF, Public Investment Fund)을 조성해 해외 투자자들을 모집함으로써 충당하게 된다13).

한편 2020년 10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전력망공사(Saudi National Grid) 대표가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생산량 30기가와트를 달성한다는 새로운 목표를 제시했으며(REPDO의 2023년 목표와도 대략 들어맞는 수준), 이에 더해 향후 10년간 200억 달러(한화 약 28조 원)의 자금이 유관 분야에 투입될 예정임을 밝혔다14).

또한 2021년 1월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Ministry of Energy) 장관이 2030년까지 자국 에너지 소비량 중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을 50%로 끌어올린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제2의 독일을 꿈꾼다”라는 포부를 밝히면서, 나머지 50%도 석유가 아닌 천연가스로 충당하겠다는 계획을 소개하고, 가까운 미래에 사우디아라비아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15).

비전 2030 관련 사업 시행 사례
REPDO는 2017년 초에 재생에너지 사업 민간 입찰을 최초로 개시해 300메가와트급 독립형 발전 사업과 400메가와트급 풍력 발전 사업을 담당할 기업을 모집했고, 2018년 11월에는 PIF가 지분 일부를 보유한 아크와 파워(ACWA Power)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이 성공적으로 구성된 사실이 확인되었다16). REPDO는 이어 2019년 1월에 메카(Mecca)주에 건립 예정인 600메가와트급 시설을 포함해 도합 2.2기가와트의 용량을 지닌 11개 태양광 사업 입찰 진행 계획을 발표하고, 이후 4월에는 2022년 가동을 목표로 하는 총용량 850메가와트급 풍력 발전소 사업의 입찰 계획을 공개했다17). 또한 해가 바뀐 2020년 1월에는 도합 1.2기가와트의 용량을 지닌 4개 태양광 발전소 사업 입찰안이 추가 공개되었고18), 사우디아라비아 기업 28개를 포함해 총 49개 기업이 사전 심사를 통과해 현재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중이다.

다음으로 해외 투자 유치를 담당하는 PIF는 2016년 10월 일본 기업 소프트뱅크(SoftBank)와의 합의문에 서명하면서 사우디 비전 2030 지원을 위한 1,000억 달러(한화 약 140조 원) 규모의 소프트뱅크 비전 기금(SoftBank Vision Fund)을 조성했고, 2018년 3월 발표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2,000억 달러(한화 약 280조 원) 상당 투자의 일환으로 사우디아라비아 태양광 발전소 사업에도 참여하게 되었다19). 이어 2019년 발표에 의하면 REPDO가 주관하는 풍력 발전 사업의 재정 마련 과정에서도 PIF가 핵심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도합 2.6기가와트 규모의 메카주 태양광 복합단지 조성 사업(상기 600메가와트급 시설 포함)에도 PIF가 책임 기관으로 참여한다20).

한편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회사 사우디아람코(Saudi Aramco)는 2021년 발표를 통해 자사가 재생에너지 사업 참여 초기 단계에 있음을 알렸고, 동 발표에 따르면 PIF가 아크와 파워를 통해 관리하는 1.5기가와트급 태양광 사업인 수다이르 프로젝트(Sudair Project) 지분 중에서 사우디아람코가 35%를 획득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아크와 파워 대표는 향후 합작 사업 전개 과정에서도 해당 사례와 유사한 방식을 취할 방침임을 밝혔다21).

마지막으로 K.A.CARE 또한 최근 자체 전략을 바탕으로 ▲사우디 국내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고 잠재적 투자자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 재생에너지 자료센터(National Data Center for Renewable Energy) ▲연구·개발 지원과 민간부문 참여 독려 기능을 수행하는 재생에너지 기술 국산화 프로그램(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Localization Program) ▲유관 분야 근무를 희망하는 인력에 적절한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인력 계발 구상(Human Capacity Building Initiative)을 각각 출범했다.  

비전 2030이 지금까지 거둔 실제 성과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재생에너지 구상이 지금까지 낸 실적을 살펴보면 야심찬 당초 계획에 비해 실제 발전량 확충이 미미한 상황이다. 일례로 2021년 말까지 집계된 재생에너지 용량 증가분은 397메가와트에 불과하고, 이 중에서도 태양광 발전이라는 단일 종류가 394메가와트라는 압도적 비중을 차지한다. 게다가 2020~2021년 동안에는 1메가와트급 이상의 신규 사업 입찰이 단 한 건도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데22), 이는 총용량 1.47기가와트 규모의 사업에 대한 입찰을 개시하겠다는 REPDO 및 에너지부의 발표를 무색하게 한다23).

이에 더해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 소비량 통계에서도 2018년을 기준으로 한 재생에너지 비중은 1.6%에 불과해 2010년의 0.7%에 비해 미미한 수준의 성장을 기록하는 데 그쳤고24), 입수가능 최근 자료인 2020년 통계에서도 에너지 소비량에서 석유와 천연가스의 비중이 각각 62%와 38%를 나타내 사실상 화석연료 의존 문제가 전혀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25).

다만, 일단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2022년 7월 스마트시티 ‘네옴(NEOM)’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친환경 직선도시인 ‘더 라인’ 을 발표하는 등 올바른 방향으로의 변화를 천천히나마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분야에서 다소간의 진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공개될 2022년도 자료에서도 소기의 성과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전망이 가능한 것은 이전까지 급증을 거듭하며 국가 재정에 부담을 야기했던 연간 전력 소비량이 최근 둔화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인데, 2019년도 전력 소비량은 354TWh를 기록해 위에서 소개한 2016년 수치에 비해 3.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여기에 더해 동년도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2015년 대비 6.8% 감소한 495메가톤으로 나타나 정부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정책이 최근 어느 정도 성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26). 이외에 다수의 REPDO 사업을 담당하는 주체인 아크와 파워의 최근 공모가 기준 기업가치가 140억 달러(한화 약 20조 원)를 기록한 점도 유관 분야에 대한 민간부문의 여전히 높은 관심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는 등, 사우디아라비아 녹색 에너지 구상의 미래에 관한 긍정적 신호가 여러 군데에서 발견된다27).

결론: 향후 전망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우디 비전 2030에 따라 당초 내세운 목표 달성에는 당장 실패하더라도 경제 및 정치적 계산에 따라 재생에너지 발전 노력과 투자를 꾸준히 지속해 나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앞으로의 상황이 수십 년에 걸쳐 확실히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빈 살만 정부가 추진하는 경제적 탈석유 및 다변화 계획에서 비전 2030이 지니는 중요성을 감안하면 재생에너지 부문 육성을 비롯한 해당 구상의 모든 구성요소가 여전히 국가적 중점 정책으로 기능할 것이라 예상하는 게 합리적이다. 이에 더해 비전 2030은 자신을 국가적 경제 위기 타파와 국제적 지위 향상을 가져올 적임자라고 홍보해 온 빈 살만 왕세자 본인의 정치적 정당성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기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앞으로도 재생에너지 정책 추진을 지속해 점진적으로나마 긍정적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하는 바이다.


* 각주
1) Royal Decree of 17/04/2010 on the King Abdullah City for Atomic and Renewable Energies (KARARE) – Policies – IEA 
2) Saudi Arabia_Middle East_RE_SP.pdf (irena.org)
3) Renewable energy consumption (% of total final energy consumption) - Saudi Arabia | Data (worldbank.org)
4) Saudi Arabia - Countries & Regions - IEA
5) Saudi Arabia reveals cuts plan to shrink $98bn budget deficit | Saudi Arabia | The Guardian
6)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6-01-28/russia-set-for-oil-record-as-it-mulls-action-with-opec-on-prices
7) Saudi Arabia - Countries & Regions - IEA
8) CO₂ EMISSIONS, ENERGY CONSUMPTION, AND ECONOMIC GROWTH IN SAUDI ARABIA on JSTOR
9) Saudi_Vision2030_EN.pdf (saudiembassy.net)
10) Saudi_Vision2030_EN.pdf (saudiembassy.net)
11) MEED | BREAKING: Saudi Arabia sets new 58.7GW renewable energy target for 2030
12) MEED | BREAKING: Saudi Arabia sets new 58.7GW renewable energy target for 2030
13) MEED | BREAKING: Saudi Arabia sets new 58.7GW renewable energy target for 2030
14) Saudi Arabia expects more than $20 bil investment in renewables over a decade: official | S&P Global Commodity Insights (spglobal.com)
15) 'We will be pioneering': Saudi Arabia reveals 50% renewables goal by 2030, but is that realistic? | Recharge (rechargenews.com)
16) MEED | BREAKING: Saudi Arabia sets new 58.7GW renewable energy target for 2030
17) The plan to turn Saudi Arabia into a renewable energy leader | Saudi Arabia 2019 | Oxford Business Group
18) Saudi Arabia expects more than $20 bil investment in renewables over a decade: official | S&P Global Commodity Insights (spglobal.com)
19) MEED | BREAKING: Saudi Arabia sets new 58.7GW renewable energy target for 2030
20) The plan to turn Saudi Arabia into a renewable energy leader | Saudi Arabia 2019 | Oxford Business Group
21) Saudi's ACWA to develop $30 billion of renewable projects by 2030 with Aramco, PIF | S&P Global Commodity Insights (spglobal.com)
22) 'We will be pioneering': Saudi Arabia reveals 50% renewables goal by 2030, but is that realistic? | Recharge (rechargenews.com)
23) Saudi Arabia expects more than $20 bil investment in renewables over a decade: official | S&P Global Commodity Insights (spglobal.com)
24) Renewable energy consumption (% of total final energy consumption) - Saudi Arabia | Data (worldbank.org)
25) International -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26) Saudi Arabia - Countries & Regions - IEA
27) Saudi Arabia’s biggest IPO since Aramco surges in debut | Business and Economy News | Al Jazeera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